안녕하세요
오늘은 그냥 예전에 제가 궁금했던 거였는데 혹시나 저처럼 궁금해하실 분이 있을 것 같아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요즘 같이 경기가 어수선 할때 뉴스에 많이 나오는 단어가 인플레이션이잖아요?
그렇다면 인플레이션만 얘기나오는게 아니라 디플레이션, 스테그플레이션이라는 단어도 자꾸 언급되는데 정확히 단어의 의미가 무엇인지 알아볼까 합니다.
1. 인플레이션 (INFLATION)
사전적인 의미로는 화폐가치가 하락하여 물가가 전반적·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제현상 입니다.
예전에는 100원이나 500원으로 살 수있는 것들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1000원이 있어도 살수 없는 게 많죠?
하물며 직장인들이라면 점심 한 끼에 7~8,000원이었는데 지금은 1만 원 이하는 찾기도 힘듭니다.
이렇듯이 화폐가치가 하락하는 데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 수요 인플레이션 : 수요가 늘어나는데 공급량이 늘지 않아서 일어나는 인플레이션입니다
- 비용 인플레이션 : 생산비용이 증가하면서 제품가격도 상승하여 전반적인 물가가 오르는 것입니다.
- 단순 수요의 이동이나 공공요금의 인상, 저생산성으로 인한 공급 부족 등이 인플레이션의 원인입니다.
코로나19로 인해 세계경제가 정체가 되자 각 나라에서 시중에 돈을 엄청 풀었습니다.
우리나라도 자금부족으로 인한 기업의 부도, 자영업자나 개인들의 경제를 위해 돈을 많이 풀었습니다.
이때 대출을 받아 집을 구매하고 주식이나 코인등에 투자를 많이 하였습니다.
그러다 이로 인해 물가가 많이 오르자 최근 들어 금리를 올리고 시장에 풀어진 돈을 조절하려고 합니다.
과거에도 이렇듯 인플레이션이 있으면 디플레이션으로 시장경제를 조정하곤 했습니다.
2. 디플레이션 (DEFLATION)
디플레이션은 앞에서 말한 인플레이션과 반대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다시 말해 디플레이션은 경제 전반적으로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보통 금리가 올라가면 사람들은 소비나 투자를 하기보다는 안정적인 이자를 지급하는 은행에 대출금을 갚거나 예적금을 가입하기 시작합니다.
이런 일이 지속되면 자연스럽게 시중에 풀린 돈이 수거되면서 자연스럽게 화폐의 가치가 올라가는 현상이 생깁니다.
화폐가치가 올라가면 자연스러게 물가는 조금씩 낮아지겠지만 화폐가치의 상승으로 소비가 줄고 그러면 기업들의 수익은 줄어들고 비용절감을 위해 구조조정도 이루어지고 그러다 보면 점점 상품의 가격도 지속적으로 하락하게 됩니다.
이러한 악순환이 반복되면 불황이 지속됩니다.
미국의 대공황 때가 그랬고 가까운 일본의 버블경제가 무너진 후 30년을 '잃어버린 30년'이라고 할 만큼 사회·경제 전반에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이 하락하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그에 따라 근로자의 임금도 동결되거나 낮아졌었습니다.이렇게 제자리라면 경기가 침체되어 성장은커녕 계속 퇴보하게 될 것입니다.그래서 정부나 금융기관 등은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게 조절을 잘해야겠습니다.
3. 스태그플레이션 (STAGFLATION)
스태그플레이션이란 경기침체를 의미하는 스태그네이션(STAGNATION)과 물가상승을 의미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로 경기침체가 되었음에도 물가가 상승하는 경제현상을 말합니다.
인플레이션은 물가가 올라가서 경기가 좋아지고, 디플레이션은 경기는 침체되어도 물가가 낮아진다는 장단점이 명확한데 스태그플레이션은 경기가 침체되었는데 물가가 올라가니 안 좋은 현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예전에 오일쇼크 사태로 유가가 올라서 상품의 생산비용이 증가되니 가격을 인상하게 되고 가격인상으로 인해 소비를 하지 않으니 기업은 매출이 줄고 어려워지면서 구조조정을 해서 직원들을 해고하니 악순환의 연속이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실업자의 증가로 물가가 하락해야 하는데 기름값이 올라서 생산단가가 올라가니 가격이 낮아지지 않아서 물가도 계속 올라가는 스태그플레이션이 나타났던 것입니다.최근에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사태 때문에 원유, 천연가스, 밀가루, 옥수수, 원재로 등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으면서 가격이 폭등했었습니다.
지금도 언제쯤 시장이 안정화될지는 모르겠지만 빨리 제자리로 돌아갈 수 있으며 좋겠습니다.감사합니다.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댓글